서아시아를 중심으로 생산되던 참깨가 교역을 통해 동아시아로 전해졌고 유벅과 아프리카로 퍼져나갔습니다. 검정깨, 흔깨, 누런깨로 구분되며 지방과 단백질이 대부분이라서 기름으로 만들거나 조미용을 쓰이기도 하며 식재료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품종에 따라 맛의 차이가 있으며 음식의 향과 고소한 맛을 첨가하기 위해 참기름으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예로부터 참기름은 줗은 재료 또는 귀한 재료로 전해져왔고 여전히 음식의 격을 한단계 높여주는 데 활용되고 있습니다.
참깨에는 비타민 E를 중심으로 칼륨, 칼슘, 구리, 철, 마그네슘, 망간, 인, 아연, 셀레늄, 베타카로틴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구성된 성분만으로도 참깨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을 정도이며 셀레늄과 베타카로틴은 항상화 물질로 분류되어 있기도 합니다.
참깨 효능 중에서 항암에 대한 의견들이 제시된 것은 그다지 오랜 시간이 흐르지는 않았습니다. 강력한 항암식품인 마늘과 함께 참깨가 거론된 것은 상당히 이례적인 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랜 시간 곁에 있던 식재료가 좋은 효능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 새삼스럽기도 합니다.
참깨는 두피의 건강과 피부건강에 상당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어 탈모를 방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검은깨는 트립토판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를 맑게하는 동시에 머리카락의 윤기를 주며 단백질은 머리카락의 주성분인 케라틴의 원료가 되기도 합니다.
항산화물질인 셀레늄은 체내 활성산소를 줄여주고 피부가 노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베타카로틴은 체내 흡수되면 비타민 A로 전환되어 시신경의 로롭신 재합성을 도와 시력이 유지되고 눈의 피로를 회복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꿀과 함께 쪄서 먹으면 탈모를 방지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기도 하며 풍부한 비타민E는 말초혈관의 혈류를 촉진하고 좋은 콜레스테롤인 HDL을 높이고 LDL을 낮춰주어 혈관벽의 침착되는 콜레스테롤을 방지하고 제거하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저하시키게 되고 레시틴은 동맥경화를 방지하고 나아가서는 심혈관계질환을 예방하고 고혈압과 당뇨병을 미연에 방지하기도 합니다. 필수 아미노산인 메시오닌과 시스틴은 치매를 에방하고 뇌건강을 유지하는 물질로 참깨에 다량 함유되어 있습니다.
암세포에 대해 강한 억제작용을 하는 M-100이라는 새로운 물질이 발견되었는데 검은깨에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암세포의 초기상태에서 좋은 작용을 하는 M-100은 피부암의 60%, 위암의 85%, 폐암의 75%를 예방할 수 있다는 임상실험이 있었습니다.
참깨를 주기적으로 섭취하면 참깨의 다양한 효능을 체득할 수 있으며 필수 지방산과 아미노산은 체력을 증진시키고 원기를 회복하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만성피로를 겪고 있는 직장인이나 수험생이라면 참깨를 주기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권장할 수 있습니다.
지방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변비에도 효능을 가지고 있지만 참깨 부작용으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알러지를 가지고 있는 경우 많은 양을 섭취하게 되면 설사를 유발할 수 있으며 고열량이기 때문에 체중이 쉽게 불어날 수도 있습니다.
참깨가 건간에 좋은 역할을 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적당량을 주기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으며 다량을 한꺼번에 섭취하는 것은 주의해야 할 것입니다.